일부 차량용 온열시트 안전확인 신고 의무 미준수
일부 차량용 온열시트 안전확인 신고 의무 미준수
  • 경찰뉴스24
  • 승인 2023.02.01 23: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근 한파 등 추운 날씨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차량용 온열시트, 온열 핸들 커버 등은 발열로 인한 화재 위험성이 있는 만큼 철저한 안전관리가 필요하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장덕진)이 시중에 유통·판매 중인 차량용 온제품* 13개에 대한 안전실태를 조사한 결과, 일부 제품이 안전확인 신고를 하지 않은 채 유통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차량용 온열시트 10, 온열 핸들 커버 3

 

차량용 온열시트는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에 따른 안전확인대상 전기용품이다. 따라서 해당 제품의 제조업자 또는 수입업자는 출고 또는 통관 전 안전확인 시험기관에서 안전기준에 적합한 제품임을 모델별로 인한 후 이를 안전인증 기관에 신고해야 한다.

온열 핸들 커버는 안전관리 대상 제품에 해당하지 않음.

하지만 조사대상 차량용 온열시트 10개 제품 중 4(40.0%)는 안전확인 신고를 하지 않은 채 판매되고 있었고, 특히 이 중 1개 제품은 전자파 관련 인증*을 안전확인신고로 허위 표시해 소비자가 인증 제품으로 오인할 우려가 있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국립전파연구원)에서 시행하는 방송통신기자재등의 적합성평가 제도

한편, 조사대상 온열시트 10개 제품은 모두 최대온도가 50이하로 법정기준* 충족했고, 안전기준이 없는 온열 핸들 커버 3개의 경우도 제품 시험결과 온도상승 값이 50K** 내로 나타나 준용기준***에 적합했다.

* [KC 60335-2-17 전기용품안전기준] 가정용 및 이와 유사한 전기기기의 안전성 제2-17

** K(온도상승값) : 측정 부분의 최대온도(t2)에서 주위온도(t1)를 뺀 절대값(K = t2 t1)

*** [KC 60335-1 전기용품안전기준] 가정용 및 이와 유사한 전기기기의 안전성 제1

제품명

수입(제조)

제조국

안전확인 신고 여부

제품사진

바람고지 자동차 열선시트 차량용 1Way

모던컴퍼니

중국

X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01.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31pixel, 세로 471pixel

자동차 시트커버(보레스 번파이어 열선시트)

주식회사 카라인

X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0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03pixel, 세로 471pixel

엑스핏 블랙에디션 핫 퀼팅 가죽 열선시트

엑스오토

국산

X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0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98pixel, 세로 323pixel

삼식이 자동차 통풍시트 차량용 쿨링 열선 마사지 시트커버 12V

위스트

중국

X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04.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8pixel, 세로 96pixel

 

전기전자제품 및 자동차의 자원순환에 관한 법률에서는 전기·전자제품의 재활용을 쉽게 하고 환경에 미치는 유해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하는 전기·전자제품에 대한 유해물질 기준을 마련*하고 있다.

* 차량용 온열시트와 온열 핸들 커버의 경우 동 법의 유해물질 사용 제한 대상에 해당하지 않음.

이 기준을 준용하여 유해물질 함유량을 측정한 결과, 조사대상 13개 제품 중 량용 온열시트 2개 제품(15.4%)의 표면에서 기준을 초과하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DEHP)와 납(PB)이 검출되었다.

제품명

수입사

제조국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DEHP, DBP, BBP, DIBP 0.1% 이하)

(0.1% 이하)

시험

부위

바람고지 자동차 열선시트 차량용 1Way

모던컴퍼니

중국

DEHP 14.4%

0.11%

제품표면

삼식이 자동차 통풍시트 차량용 쿨링 열선 마사지 시트커버 12V

위스트

DEHP 5.26%

불검출

*전기전자제품 및 자동차의 자원순환에 관한 법률의 유해물질 함유기준을 준용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 내분비계 교란 물질로 간·신장 등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남성 정자 수 감소, 여성 불임 등 생식기능에 영향을 미치며, 대표적으로 DEHP(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 등이 있음.

: 급성중독 시 신장계 이상·인지 능력 저하·말초 신경계 질환, 피부 접촉 시 피부염·알레르기 등을 유발할 수 있음.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안전확인 신고를 누락하거나 유해 물질이 검출된 제품을 수입·판매한 사업자에게 판매 중지 및 품질개선을 권고하는 한편, 통신판매 사업자에게는 사업자 정례협의체*를 통해 해당 제품의 판매차단을 요청했다.

* 한국소비자원과 기업이 함께 소비자 안전 이슈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위해 저감을 목표로 다양한 활동을 추진하기 위해 출범(가전제품, 정수기, 위생용품, 화장품, 자동차, 유통 등 12개 분야 총 136개 기업)

유해물질이 검출된 제품의 사업자(모던컴퍼니)는 현재 관련 기준은 없으나 선제적 환경 보호를 위해 해당 제품의 품질개선 등 자발적 시정을 하기로 회신함.

또한 국가기술표준원에는 이번 조사에서 확인된 안전확인 미신고 업체에 대한 시정조치와 함께 안전관리 대상 제품에 대한 안전인증안전확인신고공급자적합성확인 등의 점검 강화를 요청했다.

한국소비자원 자료

경찰뉴스24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